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mariadb
- Switch
- php
- docker
- fastapi
- CentOS
- Babel
- nginx
- Redux
- AWS
- SQL
- phpredis
- For
- laravel
- rabbitmq
- nodejs
- Backbone.js
- 블레이드 템플릿
- webpack
- Redis
- linux
- Go
- Machine Learning
- Node
- deep learning
- python
- NCP
- 기초 수학
- javascript
- React
Archives
- Today
- Total
728x90
반응형
목록Web Server/Server (1)
개발일기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AS2q/btqO8WW2OxY/zu3YqMDqbYSIlwIGQKpZU1/img.png)
https://tomcat.apache.org에 접속하여 아파치 톰캣을 다운받습니다. 톰캣은 WAS(Web Application Server)라고 불리우는데 자바코드를 통해 구현된 프로그램을 HTML에 동적으로 생성하여 보여주기 위해 필요합니다. 쉽게 말해, 톰캣 서버를 통해 웹어플리케이션에서 DB와 연결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, 혼자만이 아닌 다른 사람도 접속하여 웹서버를 둘러볼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 화면 좌측 사이드바에 Download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 후, 다운로드 진행하면 됩니다. 필자는 무난한 Tomcat8을 추천합니다. 그 후, 자신의 OS에 맞게 설치를 진행합니다. 설치를 진행할 때, 관리용 포트는 8005 웹서비스 포트는 8080 아파치 웹서버과 IIS등과 연동할 때..
Web Server/Server
2020. 12. 6. 00:35
728x90
반응형